호흡으로 찾는 건강, 복식호흡(복부호흡) 바르게 하는 방법
우리는 매일 하루 1만 번 이상 호흡을 통해 숨쉬기 운동을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호흡은 흉식호흡으로 가슴으로 호흡을 하는 방법인데요.
이렇게 매일하는 호흡을 흉식이 아닌 복식,
즉 아랫배를 이용하는 복식호흡을 하면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심신을 안정시키고 뇌가 활성화되어 건강을 증진시키는 복식호흡,
복부호흡 바르게 하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고 반대로 좋지 않은 호흡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복식호흡의 좋은 점은?
복식호흡은 횡격막을 위아래로 늘리는 깊은 호흡법입니다.
호흡이 깊을수록 혈중 이산화탄소의 양이 늘어나 뇌 혈류량이 증가하는데,
이는 뇌 세포 활동을 촉진시켜 뇌를 건강하게 만들어 줍니다.
또, 부교감신경이 활성화 되면서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 이상 증상을 완화하여 줍니다.
복식호흡으로 부교감 신경 활성화, 왜 좋을까?
스트레스는 자율 신경 중 교감 신경을 자극합니다.
교감신경은 위급하거나 긴장된 상황에서 활발해져 심박수와 혈압을 올리고 근육을 긴장시킵니다.
이로 인해 호흡은 얇고 거칠어 지는데, 이러한 호흡은 다양한 신체 이상 증세를 불러옵니다.
복식호흡으로 활성화하는 부교감 신경은 스트레스로 인한 교감 신경과는 반대의 역할을 합니다.
몸을 이완하고 심박수를 낮추어 심신이 안정되는 상태를 만들어 줍니다.
복식호흡(복부호흡) 바르게 하는 방법
1. 긴장을 풀고 편안한 자세를 취합니다. (앉은자세, 누운자세 모두 괜찮습니다)
2. 한 손은 가슴, 또 다른 한 손은 배에 올려줍니다.
(이는 내가 복식호흡 바르게 하는 방법을 잘 실천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3. 코로 숨을 들이마셔 배에 공기를 깊게 넣어줍니다.
(이때 가슴은 움직이지 말아야 합니다.)
4. 숨을 마셨을 때보다 내뱉을 때는 2초 정도 길게 내뱉어 주며 입으로 천천히 내뱉어 줍니다.
5. 호흡의 횟수보다 바르게 호흡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슴과 배에 올린 손으로 복식호흡이 잘 되고 있는지를 충분히 느끼며 노력해야 합니다.
6. 만약 호흡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불편한 느낌이 든다면 강도를 줄여 제대로된 호흡을 연습합니다.
7. 분당 호흡수는 6~10회로 잡고 연습을 하는 것이 좋으며 익숙해지면
시간을 늘리고 복식호흡 횟수를 줄여갑니다.
8. 단, 처음부터 무리해 호흡량을 과도하게 늘리면 과호흡증후군이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복식호흡 바르게 하는 방법, 잘 따라해 보셨는지요?
복식호흡은 얼마나 많이 하느냐보다 얼마나 바르게 하느냐가 중요합니다.
복식호흡 바르게 하는 방법을 잘 실천하시면 전신을 이완하여
현대인들이 평소 겪고 있는 통증들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수술 후 회복기 환자가 시행하면 수술 부위를 회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잘못된 호흡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잘못된 호흡법은 입 호흡입니다. 호흡을 할 때 호흡의 경로는 코와 입이 있는데,
코에는 먼지와 세균을 걸러주는 필터 역할을 하지만 입은 그렇지 못합니다.
입으로 하는 호흡은 필터 없이 먼지와 세균을 그대로 들이마시게 되는 격이므로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복부호흡,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겠지만 조금만 연습하면 누구나 할 수 있는 호흡법입니다.
평소에도 의식적으로 코로 숨을 들이마셔 복부 깊은 곳까지 건강한 숨결을 넣어보시길 바랍니다.
'아벤스 생활 정보 > 건강 정보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떨림 '마그네슘 결핍'이 원인? (0) | 2016.08.31 |
---|---|
체내 노폐물 제거하는 겨드랑이 림프마사지 (0) | 2016.08.24 |
중성지방 낮추는법 중년건강을 위협해요! (0) | 2016.07.26 |
집에서 뱃살빼는 플랭크운동 (0) | 2016.07.21 |
흔한 아이 입병인 구내염 예방 및 치료법 (0) | 2016.07.12 |